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github - sourcetree - local directory 연결하기
    IT&개발/기타 2015. 9. 3. 14:53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요즘 github을 안 쓰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.


    이번에는 github 과 local 코딩환경 사이에 윤활유가 되어주는 sourcetree를 연결하겠다.


    준비할 것은 3가지이다. 


    1. local directory 설정


    사용자 마음에 드는 파일을 지정한다. 이것은 github에서 프로그램을 받아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것이다.


    나는 경로를 C:\Users\HOME\python으로 설정 하였다.




    2. git 과 sourcetree 다운 받기


    https://git-scm.com/downloads - 깃 다운


    Downloads 에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사양을 다운후 설치한다. 





    https://www.sourcetreeapp.com/ - sourcetres 다운 



    3. github에서 저장소 만들기


    1. github의 매인화면에서 New repository를 찾는다.





    2. 클릭


    3. 저장소의 이름 설정등 기타 설정을 한다.



    4. 이름 / 공개여부 (public : 무료 / private : 유료) / 무시할 파일 설정




    5. 무시할 파일로 python을 입력해보았다.


    6. 저장소를 생성하였다. 여기서 .gitignore 파일을 살펴보았다.


    7.파일내용중에 *.py[cod]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*은 모든 이름을 포함하며 .py는 확장자가 py인 파일을 의미한다. 즉, py확장자는 무시한다는 것이다.




    4. git 과 sourcetree 설치후 sourcetree 실행



    ㄱ. sourcetree를 실행후 복제/ 생성을 클릭한다.이것은 github으로 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이다.


    ㄴ.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.


    소스 경로 / URL 은 저장소의 것을 의미한다.




    ㄷ. github의 저장소안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있을 것이다. 그것을 복사한다.




    ㄹ. 목적지 경로는 아까 1. local directory 에 해당하는 폴더를 선택하자 이것은 github에 있는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 겸 앞으로 이파일에서 변경되는 사항을 역으로 github에 저장할 수 도 있게 된다.




    ㅁ. 설정을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.



    ㅂ. 해당 폴더에 들어가서 test라는 노트 파일을 만든 뒤 글을 써보자 즉, 폴더의 변경이 생겼는 상황이다.



    ㅅ. 다음과 같이 폴더에 변경사항이 생기면 sourcetree에서 감지를 한다.



    o.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을 선택해서 커밋(local 저장소에 저장하는 역활)할 수 있다.




    ㅈ. 화면에서 커밋을 누른 뒤


    ㅊ. 맨션을 남긴 뒤 커밋 버튼을 누르면 local 상에서 커밋을 하게 된다.



    그리고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 


    1. 은 github 저장소에 저장하는 버튼이다.

    2. 는 여태까지 commit된 이벤트들을 보여준다.

    3. 이벤트 중 하나의 상세내역(바뀐 곳)등을 보여준다.




    푸시를 눌러보자.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.



    만약 github 아이디가 연동이 안되어 있으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. 

    이때 주의할 점은 해당 저장소에 커미터로 지정되어 있어야 푸시를 할 수 있다.



    완료되었다고 뜬다 이로써 로컬상의 소스가 github의 파일로 전달되었다.







    오늘은 github과 sourcetree와 local 영역을 잇는 작업을 했다. 이로써 코딩을 하는 경우 잘못 코딩하여


    과거로 돌아가는 일을 좀 더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. 




















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